Menu
문헌ë¡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3. 과거 수보 ë³´ì„œ 〉4. 무ì¸ë³´ì„œ(1998) (戊寅譜åº) 後孫 æ±èƒ„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4. 1世 2世 3世 4世 ë¬¸í—Œë¡ ã€‰1. 순창조씨삼세사단비(淳昌趙æ°ä¸‰ä¸–祀壇碑)
 
1. 문헌 ëª©ë¡ > 3. 과거 수보 ë³´ì„œ >
5. 무ì¸ë³´ë°œ(1998) (戊寅譜跋) í›„ì† ì² í›ˆ(哲勳)
무ì¸ë³´ë°œ(戊寅譜跋) 처ìŒì—는 ì„±ì€ ì—†ì—ˆê³  부족 ì´ë¦„ì„ ì‚¬ìš©í•˜ì˜€ëŠ”ë° ê³ ë ¤ 광종(光宗)ë•Œì— ê³¼ê±°ì œë„를 시행하면서 ë°±ì„±ë“¤ì´ ì„±(姓)ì„ ì“°ê²Œ ë˜ì—ˆìŠµë‹ˆë‹¤. 그래서 ê³ ë ¤ ì´ì „ì—는 ìƒê³„(上系)ê°€ ì–´ëŠ ì„±ì”¨ë‚˜ 분명치 ì•Šê³  모든 ì„±ì”¨ì˜ ì¤‘ì‹œì¡°ê°€ ê³ ë ¤ ì´í›„ì— ì¡°ìƒìž…니다. 지금 우리나ë¼ì˜ 성씨는 ëŒ€ë¶€ë¶„ì´ ì™¸ìžì´ë©° 고대 êµ­ê°€ì˜ ì´ë¦„입니다. 나ë¼ê°€ ë§í•˜ê³  ê·¸ 후ì†ë“¤ì´ 나ë¼ì´ë¦„ì„ ìžê¸°ë„¤ 성으로 ì‚¼ì€ ê²ƒìž…ë‹ˆë‹¤. 그러므로 성씨는 부계사회(父系社會)ì˜ ìƒì§•ì´ë©° ì™•ì¡±ì´ ì„±ì„ ì‚¬ìš©í•˜ìž ì‚¬ëŒ€ë¶€ê°€ì—ì„œ ë”°ë¼ì„œ ì„±ì„ ì‚¬ìš©í•˜ì˜€ê³  오늘날ì—는 ì„±ì´ ì—†ëŠ” ì‚¬ëžŒì´ ì—†ìŠµë‹ˆë‹¤. ìš°ë¦¬ë‚˜ë¼ ì¡±ë³´(æ—è­œ)는 ê³ ë ¤ 왕실(王室)ì—ì„œ 왕통(王統)ì„ ê¸°ë¡í•œ 왕대종ë¡(王代宗錄)ê³¼ 사대부가(士大夫家)ì˜ ê°€ìŠ¹(家乘)ì—ì„œ 기ì›ì„ ì°¾ì„ ìˆ˜ 있습니다. 대체로 ì²´ê³„ì  (體系的)ì¸ í˜•íƒœ(形態)를 갖춘 족보는 ì¡°ì„  성종(æˆå®—)ë•Œ 간행한 문화유씨(文化柳æ°) 성화보(æˆåŒ–è­œ)ì´ë©° 오늘날처럼 혈족(è¡€æ—)ì„ ì˜¨ì „ížˆ 수ë¡í•œ 보첩(譜牒)ì€ ëª…ì¢…(明宗) ë•Œë¶€í„°ì˜€ëŠ”ë° ëª¨ë“  ì”¨ì¡±ì´ ì¡±ë³´ë¥¼ 발행한 때는 숙종조 연간입니다. 조선시대ì—는 ì„±ì€ ê°€ë¬¸ì˜ ì–¼êµ´ì´ì—ˆìŠµë‹ˆë‹¤. ë•Œë¬¸ì— ì¡´ë¬¸ëŒ€ì„±(尊門大姓)ì—서는 가문 ì˜ì‹ê³¼ ê¸ì§€ê°€ 대단하였습니다. ì´ëŸ° ìƒê°ìœ¼ë¡œ 우리 ì¡°ìƒë“¤ì€ 족보를 수찬(修撰)하고 소중히 보관하여 족보를 ì¡°ìƒì²˜ëŸ¼ 섬겼습니다. 그리고 í•œ 세대마다 수보(修譜)를 하여 왔습니다. ì´ê²ƒì€ 우리나ë¼ë§Œì´ 지니고 있는 전통ì´ë©° ìžëž‘거리입니다. 그런ë°, ì„¸ì›”ì´ í르고 ë†ë³¸ì‚¬íšŒì—ì„œ 산업사회로 세ìƒì´ 변하면서 ì‚¬ëžŒë“¤ì˜ ì˜ì‹ì†ì— 가문 ì˜ì‹ì´ í¬ë¯¸í•´ì§€ê³  족보를 소중히 여기는 정신마저 없어져가고 있습니다. 참으로 안타까운 ì¼ì´ ì•„ë‹ ìˆ˜ 없습니다. 여기ì—ì„œ 서구문화를 부러워하고 우리 전통문화를 얕잡아보는 사회 기í’(氣風)때문 ì´ê² ì§€ë§Œ 가문 ì˜ì‹ì´ í¬ë°•í•´ì§„ ë°ë‹¤ê°€ 족보가 í•œìžë¡œ 엮어진 ë°ì— ê·¸ 연유가 있습니다. ì¡°ìƒ ëŒ€ëŒ€ë¡œ ì¨ ì˜¨ í•œìžë¥¼ 버리고 í•œê¸€ì„ êµ­ìž(國字)ë¡œ 삼아 한문êµìœ¡ì„ 소홀히 함으로ì¨, ì‹ ì„¸ëŒ€ë“¤ì´ í•œìžì— ì–´ë‘워 족보를 ì½ì„ 수 없기 ë•Œë¬¸ì— ì¡±ë³´ë¥¼ 중히 여기지 않습니다. ê·¸ ê²°ê³¼ ì¡°ìƒì´ 어디서, 어떻게 살았으며 ì–´ë– í•œ ì¼ì„ 하였는지, ë‚˜ì˜ ê·¼ì›ì´ 어떠한지 모릅니다. ë¿ë§Œ ì•„ë‹ˆë¼ ì¡±ë³´ë¥¼ êµ¬ì‹œëŒ€ì˜ ìœ ë¬¼(éºç‰©)ë¡œ 여기고 ê´€ì‹¬ì„ ë‘지 ì•Šì€ ê²½í–¥ì´ ìžˆìŠµë‹ˆë‹¤. í•œê¸€ì„ ì½ì„ 수 있는 사람ì´ë©´ 누구나 ì½ì„ 수 있게, 서문(åºæ–‡), 발문(è·‹æ–‡), 행장(行狀) ë“±ì„ ìš°ë¦¬ë§ë¡œ 번역하여 ì›ë¬¸(原文)ê³¼ 함께 실었으며 ì†ë¡(孫錄)ì˜ ê°œì¸ ê³µì ì‚¬í•­ë„ 우리ë§ë¡œ 번역하였습니다. 본보(本譜)는 ì´ëŸ° 뜻ì—ì„œ í•œê¸€íŒ ì¡±ë³´ë¼ ì´ë¦„ í•  수 ìžˆì„ ê²ƒìž…ë‹ˆë‹¤. 우리 ì§‘ì•ˆì€ ä¸€ä¸ƒâ—‹äºŒå¹´ 임오시보(壬åˆå§‹è­œ)를 간행한 ì´ëž˜ë¡œ åƒç™¾å¹´ ë™ì•ˆì— 一○ 餘 차례나 대ë™ë³´ë¥¼ 수찬하였습니다. 지난 一ä¹å…­å…«å¹´ 무신보(戊申譜)ê°€ ê°„í–‰ëœ ì§€ ì´ë¯¸ ä¸‰â—‹â—‹å¹´ì´ ì§€ë‚˜ 대ë™ë³´ë¥¼ 편찬하지 않으면 ë©´ë©´(綿綿)히 ì´ì–´ì˜¨ ì „í†µì´ ê³„ìŠ¹ë˜ê¸° 어려울 ë¿ë§Œ ì•„ë‹ˆë¼ ê¸‰ê²©ížˆ 발전해 가는 산업사회ì—ì„œ ë¿”ë¿”ì´ í©ì–´ì§„ 후ì†ë“¤ì—게 물려줄 수가 있는 ê²ƒì€ ì˜¤ì§ ì¡°ìƒì˜ ë‚´ë ¥ì´ ë‹´ê¸´ 족보ë¼ê³  ìƒê°í•©ë‹ˆë‹¤. 그래서 몇 ë…„ 전부터 ê° ë¬¸ì¤‘íšŒì˜ ë•Œë§ˆë‹¤ 대ë™ë³´ ìˆ˜ì°¬ì˜ ì—¬ë¡ ì´ ë¹„ë“±(沸騰)하였으나 체계ì ìœ¼ë¡œ 수단할 기구가 ì¡°ì§ë˜ì§€ ì•Šì•„ì„œ 미루어 왔습니다. ê·¸ëŸ°ë° ä¸€ä¹ä¹å…­å¹´ 지남재(èŠå—齋) 시제(時祭)ë•Œ 종친(宗親)들로부터 본 ì‚¬ì—…ì˜ ì—´ì˜ê°€ ë†’ì•„ì§€ìž ä¸€ä¹ä¹ä¸ƒå¹´ 三月 二åå…«æ—¥ 종 회(宗會)ì—ì„œ 대ë™ë³´ì‚¬ì—…ì„ ì˜ê²°(議決)하고 편찬위ì›íšŒë¥¼ 구성하여 무ì¸ë³´(戊寅譜)는 다ìŒê³¼ ê°™ì´ ìˆ˜ì°¬ì˜ ì´ˆì ì„ 설정하였습니다. 첫째, 족보가 단지 소중히 보관하고 모시는 ì±…ì´ ì•„ë‹ˆë¼ ì§‘ì•ˆì—ì„œ ì•„ë“¤ë”¸ì„ ê°€ë¥´ì¹˜ëŠ” êµë³¸(敎本)으로 ì´ìš©í•  수 있ë„ë¡ ë¹„ë¬¸, 행장, 서문, ì†ë¡ ë“±ì„ í•œê¸€ë¡œ 번역하여 ì›ë¬¸ê³¼ 나란히 등재하였습니다. 그래서 족보를 ì½ê³  수ë¡ëœ 충효(å¿ å­)ì˜ ì •ì‹ ì„ ë³¸ë°›ì•„ ì¡°ìƒì˜ 후ì†ë‹µê²Œ 충효를 실행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. 우리 집안 내력부터 알게 하ìžëŠ” 것입니다. 둘째, 누구나 ê°€ê¹Œì´ ë‘ê³  틈만 나면 ì½ëŠ” 족보가 ë˜ë„ë¡ ì—®ì—ˆìŠµë‹ˆë‹¤. 모시는 ì¡±ë³´ì— ì„œ ì½ëŠ” 족보로 ê·¸ 위ìƒì„ 바꾸었습니다. 후ì†ëœ ì´ëŠ” 마땅히 ì±…ìƒë¨¸ë¦¬ì— 꽂아ë‘ê³  í‹ˆí‹ˆì´ ì½ìœ¼ë©´ 옥천 ì¡°ë¬¸ì˜ ë‚´ë ¥ì´ ì €ì ˆë¡œ 알게 ë  ê²ƒì´ê³  어린 아들딸ì—게 ê°€ë¬¸ì˜ ë‚´ë ¥ ì„ ê°€ë¥´ì³ ì¤„ 수 ìžˆì„ ê²ƒìž…ë‹ˆë‹¤. 우리나ë¼ëŠ” ì¡±ë³´ì˜ ì¢…ì£¼êµ­(宗主國)입니다. 그래서 외국ì—ì„œ 특히 미국ì—ì„œ 한국 족 ë³´ì— í° ê´€ì‹¬ì„ ê°€ì§€ê³  수집 보관하며 학문 ì—°êµ¬ì˜ ìžë£Œë¡œ 삼고 í•™ìƒë“¤ì—게 ê°•ì˜í•˜ê³  있는 실정입니다. ë˜ ìš°ë¦¬ë‚˜ë¼ ì¡±ë³´ë¥¼ 본받아 ìžê¸°ë“¤ 뿌리 찾기 ìš´ë™ì„ 벌ì´ê³  있습니다. ê·¸ëŸ°ë° ìš°ë¦¬ëŠ” ì¡±ë³´ì˜ ì¢…ì£¼êµ­ì´ë©´ì„œ 오히려 족보를 잊고 심지어는 êµ¬ì‹ ëŠ™ì€ì´ë“¤ë§Œì˜ 것으로 접어버린 ê²½í–¥ì´ ì—†ì§€ 않습니다. ë¬´ì¸ ëŒ€ë™ë³´(è­œ) ìˆ˜ì°¬ì˜ ì‹¤ë¬´ìžë¡œì„œ 우리 ì¢…ì¹œë“¤ì´ ì¡±ë³´ì— ëŒ€í•œ ì¸ì‹ì„ 새롭게 하ìžëŠ” ìž‘ì€ ë§ˆìŒì—ì„œ 위와 ê°™ì´ ì„œìˆ í•©ë‹ˆë‹¤. 一ä¹ä¹å…«å¹´ å二月 åæ—¥ í›„ì† ì² í›ˆ(哲勳) 삼가 ë°œë¬¸ì„ ì“°ë‹¤
 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3. 과거 수보 ë³´ì„œ 〉4. 무ì¸ë³´ì„œ(1998) (戊寅譜åº) 後孫 æ±èƒ„
1. 문헌 ëª©ë¡ ã€‰4. 1世 2世 3世 4世 ë¬¸í—Œë¡ ã€‰1. 순창조씨삼세사단비(淳昌趙æ°ä¸‰ä¸–祀壇碑)